-  
       하드웨어적인 측면 (공급회사 관점)
-  모듈화 구조 
          
- 구동부와 제어부가 모듈화하여 제품 확장성, 연동성이 쉬운 구조
 - 제어부는 MCU, 모터제어, NCM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전원 부족시 보조배터리 연결하여 작업 연속성 지원
 - 구동부는 BLDC, 감속기, 파워볼 기계장치를 독립구성하여 진동으로 인한 제품 장애를 최소화
 
 -  NCM 이차전지 파워 
          
- XX용량으로 200W BLDC 기준으로 10시간 작업 가능
 - 영하의 기온하락시 LFP이차전지 대비 우수한 성능 제공
 - 보조 배터리 연결 기능을 제공하여 추가전원 공급가능
 
 -  구동부 파워볼 
          
- 2륜 구동방식으로 탁월한 견인력 제공
 - 400W BLDC기준 300kg 견인력
 - 파워볼간 유격을 자동조정하는 모터를 채용하여 전선압력 조임을 이용하게 제공
 
 -  원격 및 연동 조작 
          
- 유무선을 동시 지원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조작가능
 - 개활지 기준 200m 연격조정 가능한 리모컨 제공
 - 기기와 기기간에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조작 연동 케이블 제공
 
 
 -  모듈화 구조 
          
 -  
       소프트웨어적인 측면 (공급회사 관점)
-  CEO 업력 및 연구 기술력 
          
- CEO의 전선포설 경력은 30년 노하우와 기술력 보유
 - 장비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IT 경력 30년 이상 특급기술자 보유
 - 기계공학, 유무선통신, IOT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기술력 보유
 
 -  신기술 적용 
          
-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통한 구현
 - IOT 센싱을 통한 시스템 제어
 - 산업용 서버에서 실시간 데이터 트랙킹 및 빅데이터 분석
 
 
 -  CEO 업력 및 연구 기술력 
          
 -  
       CEO (수급회사 관점)
-  작업 효율성 
          
- 사전/사후 포설장비세팅 및 철거 시간 단축으로 비용 절감
 - AC 모터기반의 환경대비 전원공급장치, 배선 및 컨트로선으로 단순화 가능
 
 -  사고 안전성 증대 
          
- AC환경 대비 전원공급선에 의한 사고방지
 - 선 걸림등 사고예방
 - 장비 조작의 단순화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가능한 사고 미연 방지
 
 
 -  작업 효율성 
          
 -  
       작업자 (수급회사 관점)
-  효율적인 핵심 작업수행 
          
- 사전 포설준비 작업 등의 감소로 케이블 프링의 핵심작업 투입으로 작업자 역량 강화
 - 핵심작업 투입으로 인하여 케이블 풀링에 핵심 시간 투입으로 생산량 증대로 작업자 성취도 향상
 - 핵심 작업시간 표준화를 통한 일단위 생산량 예측 관리 가능
 
 -  조작 용이성 
          
- 모듈 형식의 파월볼로 개별이동성 강화
 - 원격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여 조작 편리성 제공
 - 연동 케이블 방식 또는 원격 리모콘 혼합 및 선택사용으로 작업자 중심의 기능 제공
 
 
 -  효율적인 핵심 작업수행 
          
 
